Web Japan > NIPPONIA No.33 > Korean > Special Feature*
NIPPONIA
NIPPONIA 제33호 2005년 6월 15일 발행
TOP

특집*
2분 이내로 쓰나미 경보가 가능하도록
비용과 시간을 생각하면 인명을 구하기 위한 현실적인 최대의 쓰나미 대책은 쓰나미 예보를 빨리 발령하는 것 밖에 없다. 이를 위해 기상청이 1999년 4월에 시작한 것이 「양적 쓰나미예보 」이다. 경보구조는 제일 먼저 일본 연안 4000여 곳의 해저단층을 진원지로 하는, 그 규모와 진원의 깊이가 다른 약 10만개 정도의 케이스로 지진을 상정해 이를 기초로 각각의 지진이 일으키는 쓰나미의 높이와 연안 각 지역의 도달시간을 계산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해 실제로 지진이 일어나면 그 진원지와 깊이, 규모에 가장 가까운 지진의 쓰나미 데이터를 예보단위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해 지진발생 후 3~5분의 짧은 시간에 예보를 발령하게 되었다.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생각할 수 있는 최대의 위험도를 상정한 것으로 사 람들에게 피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오쿠시리도를 습격한 것 같은 빠른 쓰나미를 생각하면 예보를 발령하는 것이 지진 발생부터 3 분 뒤라도 아주 빠르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기상청에서는 신형 지진계를 사용해 지진 발생부터 2분 이내에 쓰나미 예보를 내는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지진계가 기록한 종파(P파)와 횡파(S파)의 도달시간으로 파악하던 것을 신형지진계는 P파가 만들어 내는 파형으로 진원을 파악한다고 한다.그 결과 지진발생으로부터 30초 후에는 진원지를 알 수 있고 다음은 양적쓰나미예보 시스템으로 총 2분 이내에 예보를 발령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신형 지진계가 전국 203곳에 모두 설치되는 것은 2006년 예정이지만 시범운용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 이렇게 예보의 정확성이 확인되면 지진 발생후 2분 이내라는 세계 최첨단의 쓰나미예보가 실현된다. 또 2005년 3월말 필리핀에서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북서태평양해역도 양적쓰나미예보 대상지역이 되어 정보제공이 시작됐다. 곧이어 황해와 말레이시아 해역 등도 대상이 될 예정이다. 또한 인도양해역에 대해서는 지진규모에 따라 쓰나미의 가능성의 정보제공을 할 수 있는 체제가 갖춰지게 되었다.
japanese

가동식 방파제 원리
가동식 쓰나미 방파제의 한 예. 방파제는 평상시 해저에 수평으로 되어 있지만 쓰나미 경보 시에는 압축공기 주입으로 수직으로 세워져 만안으로 쓰나미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japanese

일본의 주요 쓰나미 피해현황
발생년도
쓰나미 명칭 / 사망자 ·행방불명자 수 / 쓰나미의 높이
1771년
야에야마지진 쓰나미 / 약 12,000명 / 대형쓰나미
1854년
안세이도카이 지진, 난카이지진 / 2,000 〜3,000명 / 대형쓰나미
1896년
메이지산리쿠지진 쓰나미 / 약 22,000명 / 24.4m
1933년
쇼와산리쿠지진 쓰나미 / 약 3,000명 / 28.7m
1944년
쇼와도난카이지진 / 약 1,200명 / 10m
1946년
쇼와난카이지진 / 약 1,400명 / 4 〜6m
1960년
칠레지진 쓰나미 / 약 140명 / 5 〜6m
1968년
도카치 앞바다 지진 / 약 50명 / 3 〜5m
1983년
일본해중부지진 / 약 100명 / 6m이상
1993년
홋카이도 남서쪽 앞바다 지진 / 약 230명 / 29 m
japanese


BACKNEXT

NIPPONIA
TOP
   특집*    일본의 동물들    일본생활
   오층탑은 왜 쓰러지지 않나
   잘 먹겠습니다    새로운 일본 여행안내

web japan Bulletin Board What's new Mail Servic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nglish)